데이터 분석가 그룹인 데이터리안에서 온라인 세미나를 연다길래 바로 신청했다.
현직자의 이야기 너무 소중해..!!! *_*
- 1부 19:00 ~ 20:00 비전공자 데이터 분석가 취업기 + 채용공고 읽는 방법
- 2부 20:00 ~ 21:00 비전공자 데이터 분석가 4인 질의응답
아래는 세미나 내용 중에 복기하고싶은 내용을 내가 재가공해 정리한 것.
데이터 분석가는 무슨 일을 할까?
-> 업무의 범위나 기술 스택이 정형화되어있지않은 분야여서 채용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함
도구 활용 능력
-> 많은 교육들이 도구(ex. 파이썬)에 집중되어있는데, 실무에서 체감하기에는 SQL과 엑셀을 많이 씀
윤선미 대표님은 파이썬, R을 사용해야하는 환경을 자주 만나지 못했다고 함.
엑셀/구글스프레드시트 사용빈도 높음. (시각화 도구로 쓰이기도 하고, 공유받는 타 부서에서 데이터 2차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
채용 공고를 보면 분석가 업무를 모델링이라고 쓰기도 하고, 퍼널/AARRR 등 프로덕트 분석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역량을 어디까지 쌓아둬야 할까? (데이터분석가 / 비즈니스 분석가 / 프로덕트 분석가)
-> 회사마다 팀마다 다르고, 입사 후에 필요에 따라 업무가 바뀌기도. 유연한 태도를 가지면 좋을 듯.
머신러닝 모델링은 조금 더 전문적인 분야이긴 함.
데이터 분석가로 일하면서 가장 어려웠거나 힘들었던 점. 현업에서 하는 고민들.
-> 분석 기획부터 결과 도출까지도 중요하지만, 결과를 공유한 뒤 다음 스텝에 대한 고민들이 있다.
실제로 프로덕트/서비스에 적용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해야 하고,
현실적으로 데이터 분석 결과가 의사결정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그런 점이 힘들다.
도중에 비즈니스 방향이 바뀌기도 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선임이 없는 스타트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게 괜찮을지?
-> 모르는 것을 물어볼 사람이 있는가의 여부는 중요하다.
실제로 데이터리안에는 사수가 없는 회사로 경력을 시작한 분들이 많아서, 다들 그때를 아쉬워했던 듯.
도메인 지식을 쌓는 데에도 선임이 있는 게 훨씬 유리하고, 내 분석에서 부족한 점/편향 여부 등에 대해 피드백해줄 사람이 있는 게 좋음.
포트폴리오 준비는 어떻게?
-> 신입은 담을 수 있는 내용이 많지 않으니까 학습내용부터 인사이트 도출한 것들, 프로젝트 내용 등 내가 보여줄 수 있는 것들.
포트폴리오는 서류가 아닌 면접에서 필요한 자료. 면접에서 질문받을 것을 예상해서 잘 정제해 담는 것이 필요함.
데이터 분석 직무에 석사가 필수일까, 현업 실무자의 생각은?
-> 증명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필요로 한다고 생각. 학업이 아닌 취업을 목표로 석사 하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신입 데이터 분석가로서 면접에서 어필하면 좋은 점
-> 회사에 대한 관심. 질문하기.
■ 신입이라 자신이 없어도 일단 지원을 해봐야 내가 해온 준비가 맞는지 점검할 수 있다.
코딩테스트, 면접 등의 과정에서 나의 부족한 점을 알 수 있다. 현직자를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
또한 이 과정도 데이터 분석이라고 볼 수 있다! 내 역량에 대한 데이터를 쌓을 기회.ㅋㅋㅋ
■ 실무자의 블로그나 책, 회사의 기술 블로그 등 배울만한 자료가 있는 환경에 나를 데려다 놓기.
■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는 인사이트를 도출해서 서비스를 개선하는 게 핵심이라고 생각함.
개인의 경험과 배경지식이 영향을 많이 미침. 이런 관점은 전공자라고 해서 유리하지는 않다고 생각.
■ 카카오, 토스 등 앱이 업데이트되었을 때 어떤 데이터를 기본으로 해서 이런 업데이트 결정을 했을까? 상상해보기
■ 레퍼런스
1. 김진영 브런치, <인공지능의 시대, 데이터 지능을 갖춘 전문가가 생존한다> https://brunch.co.kr/@lifidea/26
2. 양승화 브런치,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시즌2를 준비하며> https://brunch.co.kr/@leoyang99/36
3. 하용호, <데이터는 차트가 아니라 돈이 되어야 한다> https://www.slideshare.net/yongho/ss-52116574
4. 이프카카오, <추천 시스템, 써보지 않겠는가? - 맥락과 취향 사이 줄타기> https://if.kakao.com/session/125
5. 우버, https://www.youtube.com/watch?v=bn8rVBuIcFg
6. 꼬젯 블로그 https://cojette.github.io/
7. 원티드 https://www.wanted.co.kr/
8. 당근마켓 팀블로그 https://medium.com/daangn
9. 박스앤위스커 홈페이지 https://boxnwhis.kr/
10. 린 분석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775117
'노트2 >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퍼런스] 2022.02 팝콘 시즌1 : 프로덕트와 함께 성장하는 데이터 실무자들의 이야기 (0) | 2022.02.15 |
---|---|
[발간자료] 오픈서베이 선정 '2022 리서치 트렌드' 6가지 (0) | 2022.01.24 |
[발간자료] KOPIS 월간 공연전산망 2021년 12월호_vol.8 리뷰 (0) | 2021.12.21 |